안녕하세요 여러분!
송아지할 때 송아 김송아입니다,
다들 잘 지내셨나요!! 따뜻한 봄은 잘 즐기고 있고?!
벚꽃🌸도 곳곳에 피고 있던데, 바쁘더라도 잠깐이라도 집앞 꽃놀이라도 즐겨주시구요!
드디어 어느덧 4월 초가 되었답니다! 그렇다면 일단, 오랜만에 돌아온 아티클 추천입니다💚
오늘은 조금 딥(dip 아니고 deep)한 개발 방법론을 알아보려해요!
Iteration
이터레이션; 개발 과정 중 특정 단계를 짧은 주기를 반복한다는 의미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입니다.
애자일 방법론의 핵심 요소로, 스프린트라고 퉁쳐서 많이들 알고 있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조금은 다른 용어라 오늘 한번 제대로! 알아보려고 해요.
일반적으로는, 개발 과정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 단계를 독립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독립적인 개발 방법론이 아니라, 애자일 방법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요소(일종의 스프린트)로 알려져있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반복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겁니다.
피드백을 받고 반영하고, 반영하고 또 피드백 받고.. 이렇게 반복하면
그럼 당연히, 소프트웨어는 개선되겠죠?
소프트웨어가 개선된다니.. 구미가 당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터레이션이라는 과정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도중 스프린트로 사용할 뿐 아니라,
✅ 특수한 경우에 활용하곤 합니다.
바로, 이미 배포된 소프트웨어를 개선해야할 때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바로 이런 상황입니다.
아마 취업준비생들은 한번쯤 들어보았을 최다 빈도 면접 질문 중 하나인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자는 어떤 고민을 해야할까요?
아마 다들 다양한 답변을 생각하고 계실겁니다.
- '캐싱을 위해 Redis를 사용한다'
- '서버를 증설한다'
다 맞는 말이죠. 잘하셨습니다! 하지만 꼭 기술을 추가해야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부 로직을 뜯어서,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토스뱅크에서 아주 적절한 예시와 함께 글을 작성해주셨더라구요,
이터레이션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예시이니,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버 증설 없이 처리하는 대규모 트래픽
늘어나는 트래픽을 잘 처리하기 위해 서버 개발자는 어떤 고민을 해야 할까요? “라이브 쇼핑 보기” 서비스에 대규모 트래픽이 들어오면서 겪은 문제와 해결책을 공유드려요.
toss.tech
여러분을 이렇게 오랜만에 글로 만나니 너무 반갑고 또 좋은 걸요!!
이렇게 언그래머 글이 다시 시작되었다는 건, 인프런 강의가 오픈했다는 이!야!기💚
유데미 1탄의 디테일을 살린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유데미에도 일주일 내로 별도 공지를 드릴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생애 최초 완강 행진이었던 유데미 강의에 업그레이드 버전이라니,
나 혼자만.. 완강의 기회 놓칠 순 없겠죠?
한달 간 오픈 이벤트로 33프로 최대 할인을 진행하고 있는 건 안 비밀🤫
🔻🔻🔻🔻🔻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놀러오셔요🫶🏻 🔻🔻🔻🔻🔻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강의 | 송아지할때송아김송
송아지할때송아김송아입니다. | , 멋진 웹 백엔드 개발자가 되려고 마음 딱 먹으신거죠?내 가치를 증명해줄, 진.짜 쓸 수 있는 포트폴리오 기반 닦으러 오신 거 맞죠?지금까지 그~저 따라 치고,
www.inflearn.com
느낌 오셨죠? 우리 이제 곧 새롭게 바뀐 커뮤니티로 만날 예정이에요 호호호호
다들 준비되셨나요? 그럼 이번주에 또 곧 만나요😘 꺄!!!!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바꾼 개발자 채용 시장, 우리의 전략은? (feat. 개발자 전망) (2) | 2025.04.15 |
---|---|
글 빨 없이 합격하는 개발자 이력서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0) | 2025.04.11 |
잠수타서 미안.. 잘.. 지냈지?💓 (언그래머 아티클도 유튜브도 다시 돌아옵니다.) (5) | 2025.03.19 |
⭐️ 다시 돌아온 개발자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1탄 특강 안내 ⭐️ (9) | 2025.02.25 |
코딩테스트 챌린지 - SQL : GROUP BY (9) | 2025.01.31 |